요구사항 정의서, 그냥 문서가 아닌 건 아시죠?
프로젝트의 시작인 요구사항 정의서가 부실하게 만들어진다면, 프로젝트 전체가 흔들립니다.
저도 실무에서 초기에 대충 작성했다가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엉뚱한 작업을 하고, 결국 수정만 반복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최근엔 ChatGPT를 잘 활용해서 이 과정을 훨씬 효율적으로 개선되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초안 수준을 넘어, 실제 실무에서 바로 쓸 수 있는 수준으로 요구사항 정의서를 뽑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1. 프로젝트 요구사항 정의서, 제대로 뽑으려면?
✔ 단순한 기능 나열이 아니라
✔ 프로젝트 전체 그림과 핵심 기준을 명확히 담아야 합니다.
ChatGPT를 활용하면 다음 3단계로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 2. 실무 기준 3단계 작성 구조
① 프로젝트 개요 확실히 정리
- 서비스 목적
- 주요 타깃층
- 핵심 기대 효과
② 기능·비기능 요구사항 분리
- 기능 요구사항: 사용자가 실제로 이용하는 기능 상세
- 비기능 요구사항: 성능, 보안, 호환성, 유지보수 등 핵심 기준
③ 참고 자료·특이사항 명시
- 경쟁 서비스 사례
- 디자인 시스템·개발 가이드 링크
- 필수 정책·규제 사항
✅ 3. 바로 써먹는 실무용 ChatGPT 프롬프트
너는 전문 서비스 기획자야.
다음 정보를 바탕으로, 실무에서 바로 사용할 수준의 프로젝트 요구사항 정의서 초안을 작성해 줘.
- 서비스명: [서비스 이름]
- 서비스 목적: [목표와 방향성]
- 주요 타깃층: [대상 사용자]
- 핵심 기능: [중요 기능 목록]
- 필수 비기능 요구사항: [보안, 성능, 정책 등]
- 참고 자료: [경쟁 서비스, 디자인 시스템 등]
작성 형식:
1. 프로젝트 개요
2. 기능 요구사항
3. 비기능 요구사항
4. 참고 자료 및 특이사항
✅ 4. 실무 적용 팁
✔ ChatGPT 답변을 그대로 쓰면 위험 → 핵심만 추리고, 용어 정리 필수
✔ 반드시 개발자·디자이너와 공유 후 피드백 반영
✔ 비기능 요구사항은 보안·성능·접근성을 빼먹지 말 것
✔ 템플릿에 바로 적용해 반복 작업 최소화
✅ 5. 실무 활용 실제 사례
위 구조로 ChatGPT를 활용해 요구사항 정의서 초안을
결과적으로,
✔ 초안 작성 시간 1시간 → 15분 단축
✔ 전체 팀 공유 후 피드백 효율 증가
✔ 빠르고 정확한 문서 기반으로 개발 일정 차질 최소화
요구사항 정의서를 제대로 뽑는 건, 프로젝트의 ‘실패 확률을 낮추는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ChatGPT를 잘 활용하면, 그 과정이 더 빨라지고 정확해집니다.
Planez는 앞으로도
✔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문서 작성법
✔ 실제 써본 기준의 AI 활용법
을 계속 정리해 드립니다.
필요한 프롬프트나 템플릿이 있으시면 댓글로 요청해 주세요.
실제 써본 기준으로 바로 정리해 드립니다.
ChatGPT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법
ChatGPT 실무 활용법
요구사항 정의서 쉽게 작성하는 법
프로젝트 기획 실무 문서 작성법
AI로 요구사항 정의서 초안 뽑는 법
서비스 기획 RS 작성 꿀팁
실무에 바로 쓰는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법
'기획 > 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최신] Notion으로 요구사항 정의서(RS) 쉽게 작성하는 실무 가이드 (1) | 2025.06.24 |
---|---|
[2025 최신] Notion 실무 템플릿 추천 – 생산성 200% 올리는 필수 템플릿 총정리 (4) | 2025.06.24 |
피그마, 피그잼 이미지 해상도가 강제로 줄어드는 이유 (0) | 2024.03.12 |
SI 프로젝트에서 기획자의 역할: 성공을 위한 필수 가이드 (2) | 2023.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