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웹기획 세상
반응형

전체 글 66

UI·UX 흐름도 제대로 안 그리면 개발팀 지옥행 – 실무 흐름도 작성법 총정리

UI·UX 흐름도 제대로 안 그리면 개발팀 지옥행 – 실무 흐름도 작성법 총정리 웹·앱 기획을 하면서 UI·UX 흐름도(Flowchart)를 대충 넘기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실무에선 화면 설계보다 흐름 정리가 더 중요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흐름도가 제대로 없으면 개발팀, 디자인팀 모두 '지옥행'을 경험합니다. ✔ 실무에서 흐름도 없이 프로젝트를 시작하면 생기는 문제개발팀 문의 폭주 – 어디서 어디로 이동하는지 몰라 혼란디자인 재작업 – 동선이 바뀌거나 화면 누락으로 수정 반복UX 혼선 – 사용자 입장에서 불편한 구조가 그대로 출시일정 지연 – 뒤늦은 구조 수정으로 개발·디자인 모두 지체결국 제대로 된 흐름도 하나가 프로젝트의 '안전장치'가 됩니다. ✔ 실무 기준 UI·UX 흐름도란? 흐름..

웹·앱 UI 기획서 작성법 총정리 – 와이어프레임만 그리고 끝냈다간 큰일 납니다

UI 기획서? 화면 몇 개 그리고 끝나는 게 아닙니다 – 실무 기준 설계서 제대로 정리하는 법 웹·앱 서비스 기획을 하다 보면 종종 착각하는 게 있습니다.화면을 몇 개 그리고 '와이어프레임'만 만들면 다 끝났다고 생각하는 경우죠.하지만 실무에선 그게 전혀 아닙니다.와이어프레임은 어디까지나 전체 화면 흐름을 눈으로 확인하기 위한 수단일 뿐입니다.진짜 중요한 건 그걸 바탕으로 UI 기획서 또는 설계서를 어떻게 구성하느냐입니다. ✔ 와이어프레임과 UI 기획서, 실무 기준 구분 정리와이어프레임: 전체 화면 구조와 흐름을 시각적으로 정리한 '뼈대' 형태 자료UI 기획서(또는 설계서): 와이어프레임을 기반으로, 화면 흐름, 기능 정의, 사용자 동선, 예외 상황, 정책 등 다양한 실무 정보를 종합적으로 담은 ..

카테고리 없음 2025.06.30

알파남 10차 웨비나 솔직 후기 – 현실적인 조언과 찐정보가 있는 곳

뉘엿뉘엿 시작한 블로그가 어느덧 곧 2년이 되어 갑니다.성장은 그대로 인체 나만의 웹기획 관련 콘텐츠를 양산하고 있었지만, 뚜렷한 성과는 없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알파남의 유튜브를 꾸준히 눈여겨보고 있었는데, 알파남의 10차 무료 웨비나를 드디어 시청했습니다.결론부터 말하면, 단순한 동기부여나 추상적인 이야기 수준이 아닌,실제로 현실에 바로 적용 가능한 정보와 냉철한 현실 조언이 확실히 담겨 있었습니다. 알파남 웨비나, 뻔하지 않았던 이유사실 요즘 온라인 웨비나나 강의는 죄다 똑같고 비슷한 얘기만 반복되기 마련인데,이번 알파남 10차 웨비나는 그걸 깬 느낌이었습니다.✔ 현실을 인정하는 냉정한 조언과 반대되는 더 챙겨주려는 자세✔ 라이브로 자신의 수익을 증명하고 수익 구조를 환상 없이 제대로 ..

[실무 기준] 기능명세서 엑셀 양식 사용법 & 작성 요령 – 협업이 쉬워지는 구조(기능명세서 샘플 다운로드)

기획자라면 결국 문서로 말해야 한다서비스를 기획할 때 가장 많이 부딪히는 문제가 바로 *“이해 차이”**입니다. ✔ 개발자는 기술적으로✔ 디자이너는 화면 중심으로✔ 기획자는 서비스 흐름 전체로 생각합니다. 이 차이를 좁히는 가장 빠른 방법이 바로 명확한 기능명세서입니다. 실제 현장에서 바로 쓰는 기능명세서 엑셀 양식이번에 정리한 기능명세서 엑셀은 제가 실무 기준으로 직접 사용하고,개발·디자인·QA팀과 협업할 때 혼선을 최소화하는 구조로 만들었습니다.아래처럼 단순 나열이 아닌, 계층 구조 + 세부 입력 항목 분리 + 조건 명시로 실무에 최적화했습니다. 기능명세서 샘플 구성 항목설명기능 ID기능 식별을 위한 고유 코드 (예: REG-01)상위 기능기능 그룹 또는 대분류 (예: 회원가입)세부 기능..

기획/문서공유 2025.06.25

[기획 실무용 팁] ChatGPT로 프로젝트 요구사항 정의서 제대로 뽑는 법

요구사항 정의서, 그냥 문서가 아닌 건 아시죠?프로젝트의 시작인 요구사항 정의서가 부실하게 만들어진다면, 프로젝트 전체가 흔들립니다.저도 실무에서 초기에 대충 작성했다가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엉뚱한 작업을 하고, 결국 수정만 반복했던 경험이 있습니다.최근엔 ChatGPT를 잘 활용해서 이 과정을 훨씬 효율적으로 개선되었는데요.이번 글에서는 초안 수준을 넘어, 실제 실무에서 바로 쓸 수 있는 수준으로 요구사항 정의서를 뽑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1. 프로젝트 요구사항 정의서, 제대로 뽑으려면?✔ 단순한 기능 나열이 아니라✔ 프로젝트 전체 그림과 핵심 기준을 명확히 담아야 합니다.ChatGPT를 활용하면 다음 3단계로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2. 실무 기준 3단계 작성 구조① 프로젝트 개요 확..

기획/실무 2025.06.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