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웹기획 세상
반응형

기획 32

2025 UX 디자인 트렌드 총정리 – 기획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7가지 변화

2025년 UX/UI 디자인 트렌드 총정리 – 실무 기획자가 꼭 알아야 할 변화의 흐름디지털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언제나 사용자 경험(UX)과 사용자 인터페이스(UI)가 있습니다.2025년은 단순한 디자인을 넘어 ‘경험 설계’ 중심의 실질적 전환이 본격화되는 시기입니다.이 글에서는 현업 UX 기획자의 시선으로,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핵심 트렌드를 정리합니다. 1. 인공지능 기반 사용자 경험 자동화AI는 이제 디자인과 기획의 보조가 아닌, 주요 구성 요소입니다.예측 기반 UX 설계, 개인화된 콘텐츠 구조, AI 챗봇의 행동 시나리오 자동 생성 등 실제 프로젝트에서 적용 범위가 빠르게 넓어지고 있습니다. 예시: 뉴스 플랫폼에서는 사용자의 읽기 패턴에 따라 자동으로 콘텐츠를 재배열..

노션으로 기능정의서 정리 끝! 실무 기획자가 공개하는 템플릿 구조와 작성법

노션 하나로 끝내는 기능정의서 작성법 – 실무자가 바로 쓰는 템플릿 공개기획자라면 영화 한 편보다 기능정의서가 더 익숙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사내 공유용, 협업 중 엉킨 상황에 대응할 하나의 기준이 필요하다면?오늘은 노션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기능정의서 템플릿 완성본을 보여드리며, 실무 세팅과 운영 팁을 함께 공유합니다. 기능정의서 샘플 | NotionMade with Notion, the all-in-one connected workspace with publishing capabilities.planez.notion.site 📌 해당 노션 템플릿의 핵심 구성기능그룹 > 세부 그룹 > 기능 계층 구조로 정리 기반으로 관리용 식별자 부여상태(update), 우선순위(priority): 빠른 필터/..

기획/문서공유 2025.07.09

앱·웹 서비스 기획, 이 5가지만 안 챙기면 초반부터 무너집니다 – 실무자가 알려주는 필수 체크포인트

앱·웹 서비스 기획, 이 5가지만 안 챙기면 초반부터 무너집니다 – 실무자가 알려주는 필수 체크포인트서비스 기획을 처음 시작하면 다들 화면을 그리거나 기능부터 고민합니다.저도 실무 초반엔 그랬습니다. 그런데 나중에 뒤엎고 다시 기획서를 쓸 때 깨달았습니다.기획의 80%는 '준비'에서 결정된다는 걸요.앱이든 웹이든 서비스 기획을 처음 잡을 때, 아래 5가지 체크포인트를 놓치면 초반부터 프로젝트가 흔들리고 결국 일정도, 결과물도, 사용자도 모두 잃게 됩니다. ✔ 실무 기준, 서비스 기획 시작 전 반드시 챙겨야 할 5가지1. 서비스 목적을 명확히 정리하라당연한 이야기 같지만, 실무에선 이게 가장 많이 흔들립니다.클라이언트 요구, 팀원 아이디어, 개발 제약…이런 것들에 휘둘리다 보면 서비스가 왜 존재하는지가 ..

UI·UX 흐름도 제대로 안 그리면 개발팀 지옥행 – 실무 흐름도 작성법 총정리

UI·UX 흐름도 제대로 안 그리면 개발팀 지옥행 – 실무 흐름도 작성법 총정리 웹·앱 기획을 하면서 UI·UX 흐름도(Flowchart)를 대충 넘기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실무에선 화면 설계보다 흐름 정리가 더 중요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흐름도가 제대로 없으면 개발팀, 디자인팀 모두 '지옥행'을 경험합니다. ✔ 실무에서 흐름도 없이 프로젝트를 시작하면 생기는 문제개발팀 문의 폭주 – 어디서 어디로 이동하는지 몰라 혼란디자인 재작업 – 동선이 바뀌거나 화면 누락으로 수정 반복UX 혼선 – 사용자 입장에서 불편한 구조가 그대로 출시일정 지연 – 뒤늦은 구조 수정으로 개발·디자인 모두 지체결국 제대로 된 흐름도 하나가 프로젝트의 '안전장치'가 됩니다. ✔ 실무 기준 UI·UX 흐름도란? 흐름..

[실무 기준] 기능명세서 엑셀 양식 사용법 & 작성 요령 – 협업이 쉬워지는 구조(기능명세서 샘플 다운로드)

기획자라면 결국 문서로 말해야 한다서비스를 기획할 때 가장 많이 부딪히는 문제가 바로 *“이해 차이”**입니다. ✔ 개발자는 기술적으로✔ 디자이너는 화면 중심으로✔ 기획자는 서비스 흐름 전체로 생각합니다. 이 차이를 좁히는 가장 빠른 방법이 바로 명확한 기능명세서입니다. 실제 현장에서 바로 쓰는 기능명세서 엑셀 양식이번에 정리한 기능명세서 엑셀은 제가 실무 기준으로 직접 사용하고,개발·디자인·QA팀과 협업할 때 혼선을 최소화하는 구조로 만들었습니다.아래처럼 단순 나열이 아닌, 계층 구조 + 세부 입력 항목 분리 + 조건 명시로 실무에 최적화했습니다. 기능명세서 샘플 구성 항목설명기능 ID기능 식별을 위한 고유 코드 (예: REG-01)상위 기능기능 그룹 또는 대분류 (예: 회원가입)세부 기능..

기획/문서공유 2025.06.25
반응형